새 한 마리 날다가 그만둔다...
새 한 마리 날다가
그만둔다/ 날개를 잊고 싶어/
무에서 허공으로 솟아올라 물질이 되고
태양 속 빛처럼 잠이 든다/ 아직 되지 못한 것이
된다/ 들어가 나가지 않는
꿈과 똑같이/ 죽음으로 사랑의 곡선을
긋는다/ 우연에서
세상으로 간다/ 제 차례를 맞은 일에
얽혀 들어/ 고통에서 고통을
거둬들인다/ 두 눈을 뜨고
명료한 환각을
그린다/ 미완성의
노래를 부른다
***
넌 나무들과 얘길 나눈다...
넌 나무들과 얘길 나눈다/
노래하는 이파리들
해를 모으는 새들이 있는 나무
너의 침묵은
세상의
외침을
깨운다/
2013. 5. 2 에게해
당신의 쾌활함에는 죽음을...
당신의 쾌활함에는 죽음을
궁지로 몰아넣는 우아함이 있다/ 이제 지나 버린
그래서 어두운 권능을 되돌려 주는
날들과 더불어 고통을 잠재우는
거울을 등지고 앉는다/ 거리를
떠도는 추방당한 어둠이
가면을 쓴 채 지나고/
상념이 잎을 떨구는 사이
공포는 태양을
즐긴다/ 이미 허공에선
실을 풀고/ 이루지 못한
열정이 가혹하다/ 그리고 결코 만들어지지
않은 얼굴은 전복된 영혼
***
내 사랑 부에노스아이레스
밑 빠진 의자 모서리에 앉아,
울렁증에 병들어 다 죽어 가면서도,
내가 태어난 도시가 이미
흐느꼈던 시를 쓴다.
그 시를 붙들어야 한다. 여기에서도
내 사랑스런 아이들
그 많은 형벌 가운데서도 널 아름답게 하는 아이들이 태어났으니까.
저항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.
가 버리는 것도 말고. 머무는 것도 말고,
저항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.
분명 더 많은
아픔과 잊혀짐이 있을지라도.
(후안 헬만이 옥중에서 쓴 시)
최후
한 남자가 죽었고 사람들이 찻숟가락으로 그의 피를 모으고 있다.
친애하는 후안, 넌 마침내 죽었다.
따스함에 적신 너의 조각들은
네겐 아무 소용이 없었다.
네가 작은 구멍으로 사라져 버리는데
어떻게 누구라도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아
널 여기 남아 있게
해 주지 않는 거지.
죽기 전에
세상 모든 분노를 다 먹어 버렸을 테고
그다음엔 유골에 기대
슬퍼하고 또 슬퍼했었지.
형제여, 너를 이미 땅 밑으로 내려놓았어,
땅이 너로 인해 떨고 있다.
불멸의 분노가 밀쳐 내는
그 손이 어디에서 싹트는지 잘 지켜보자고.
***
시인 구광렬 님은 후안 헬만과는 친구사이. 그들의 첫 만남은 1997년 어느 봄날, 구광렬 시인의 또 다른 친구
우루과이 시인 사울 이바르고엔이 주간으로 있던 멕시코 엑셀소르신문사에서 였다고 한다.
사울 이바르고엔과 후안 헬만은 1930년생 동갑내기이며, 남미 출신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.
시집 [새 한 마리 내 안에 살았지] 말미에는 구광렬 시인이 <자네의 심장은 바이올린이라 했지>라는 제목으로,
시평과 그와의 인연을 이야기한 글이 실려있다. 그 글 말미에
'바이올린 심장을 가진 친구, 후안 헬만을 위해 쓴 시 한 편을 덧붙인다'며 올린 시를 나는,
여기에 옮긴다.
지금쯤 아르헨티나에 있었으면 하는 자네에게 편지를 쓴다네
편지 여백에 암소 한 마리와 당나귀 한 마리를 그려 둠세
자네가 이 편질 읽을 즈음 암소의 젖에선 자네가 좋아하던 Alpura표
우유 냄새가 풍기고 유난히 크게 그려질 당나귀 귓바퀴에선
아, 에, 이, 오, 우
우리 시절의 인사가 성탄 종소리처럼 풀어졌으면 하네
아 참,
자네 침실 앞 쓸쓸한 망고나무를 위해 새 한 마리 그려 넣는 것도
잊질 않겠네 하지만 색칠은 자네가 하게
시절이
빨간색을 원하면 빨갛게
노란색을 원하면 노랗게
아님 그냥 편지지 색으로 두든지
그래도 자넨 파란색으로 칠할 걸세
색깔이 다르다고 새소리까지 다르겠냐는 둥
엄살스런 군더더기까지 붙이며 말이야
참 자네 심장은 바이올린이랬지
언제 꽃 한 송이 자네 혈관 편으로 보내겠네 그 향기 또한 자네가 정하게
손으로 만지는 향기
귀로 듣는 향기
눈으로 보는 향기
하지만 자넨 쉬 권태에 빠질 코를 위한 향기는 원치 않을 걸세
언젠가 페론의 마누라가
'아르헨티나여 나를 위해 울지 말지어다' 시건방 떨 때
자네의 눈은 아르헨티나를 위해 피눈물 흘렸고
자네의 입은 아르헨티나를 위해 또 울부짖었지
죽을 때도 서서 죽은 '체 게바라'처럼
천만 번 죽어도 결코 무릎 꿇지 않으리라.....
결국 자네 심장이 켜 대던 음악으로 아르헨티나의 귀는 뚫리지 않았나
역시 자네 군더더기엔 질퍽한 향기가 있네 그려
이제 조국 아르헨티나에서도 살 만하지 않느냐는 질문에
자넨 답했지 바이올린 심장을 뜨겁게 연주해 줄 여인이
더 이상 그곳엔 없다고....
더구나 연주회는 밤낮 열려야 한다고
친구여, 미구에 자네의 그 바이올린 심장을 나에게도 차용해 줄 수 없겠나
비록 연주해 줄 여인은 없지만
아무튼 이 편지는 아르헨티나로 갈 걸세. 잘 있게
2012년 겨울
바이올린 심장도, 연주해 줄 여인도
주위에 없는 친구, 광렬
'살며 사랑하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향이 그리워지는 한가위에 (0) | 2013.09.18 |
---|---|
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(0) | 2013.09.11 |
심심풀이 포스팅 (0) | 2013.08.24 |
후안 헬만의 시 두 편에 덧붙여 (0) | 2013.08.22 |
뉴욕에 계시는 곰아저씨께 응원을 보내며 (0) | 2013.08.11 |